Linux 명령어 및 개념 정리

소유권과 관련 명령어

ls -l

파일 속성을 표시

ls -l
-rw-rw-r-- 1 wlstmd wlstmd 53 2024-05-19 18:40 TEST

속성 값 의미:

chown

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자 소유권과 그룹 소유권을 변경

# chown [option] 소유자[:그룹명] 파일명
-R: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모든 파일의 소유권 변경

# 디렉터리 wlstmd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root로 변경
chown -R root wlstmd

# 파일 TEST의 그룹 소유권을 root로 변경
chown :root TEST

chgrp

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

# chgrp [option] 그룹명 파일명

# 파일 TEST의 그룹 소유권을 wlstmd로 변경
chgrp wlstmd TEST
허가권과 관련 명령어

파일 유형 및 허가권

ls -l로 파일 유형과 허가권 확인

ls -l
-rw-rw-r-- 1 wlstmd wlstmd 53 2024-05-19 18:40 TEST

파일 유형:

파일 사용자: 소유자, 그룹 소유자, 기타 사용자

파일 권한: 읽기(r), 쓰기(w), 실행(x)

기호 모드: r=4, w=2, x=1

예: rw-rw-r-- → 소유자: 읽기/쓰기, 그룹: 읽기/쓰기, 기타: 읽기

chmod

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접근 허가권을 변경

숫자 모드:

기호 모드:

# chmod -R o+w wlstmd
u: 사용자, g: 그룹, o: 기타, a: 모두
+: 부여, -: 제거, =: 지정

# 소유자에게 쓰기 권한 부여
chmod u+w 파일명
#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 제거
chmod u-x 파일명
# 기타 사용자에게 읽기/실행 권한 부여
chmod o=rx 파일명

umask

새로 생성되는 파일/디렉터리의 기본 허가권 지정

# umask [option][value]
-S: umask 값을 문자로 표기

# 기본 권한: 파일=666, 디렉터리=777
# umask 022 → 파일: 666-022=644, 디렉터리: 777-022=755

umask 계산: 기본 권한 & (~umask)

# umask 754
보수: 000 010 011
파일 권한: 110 110 110 & 000 010 011 = 000 010 010 (--- -w- -w-)
특수 권한

SetUID와 SetGID

프로세스 실행 중 root 권한을 임시로 부여

Sticky bit

공용 디렉터리에서 파일 소유자/root만 변경 가능

# chmod 1777 ClassA
ls -l
drwxrwxrwt. root root 6 5월 13:41 ClassA
디스크 쿼터

사용자/그룹의 파일 용량 및 개수 제한

진행 순서: /etc/fstab 수정 → 재마운팅 → 쿼터 DB 생성 → 개인별 쿼터 설정

관련 명령어

quotaoff: 쿼터 비활성화

quotacheck: 디스크 사용 상태 검색

edquota: 사용자/그룹 쿼터 설정

setquota: 명령행에서 쿼터 설정

repquota: 쿼터 정보 출력

LVM
tar 관련

압축 옵션:

옵션:

kill 시그널
기타 정보

프린팅 및 스캐너

vi 옵션

패키지 관리

/etc/fstab

필드: 장치명, 마운트 포인트, 파일 시스템, 마운트 옵션, Dump 값, 무결성 검사 우선순위

마운트 옵션:

포트

네트워크 설정 파일

LAN 케이블 속도

fdisk

디스크 파티션 관리

내부 명령:

/etc/passwd

필드: 사용자명, 패스워드, UID, GID, 이름, 홈 디렉토리, 로그인 셸

RAID

IPv4 사설 IP